영월 장릉... 어린 단종의 슬픈 역사를 찾아가는 길
강원 여행에서 마지막으로 들러보는 곳입니다.
어린 단종의 애잔한 설움이 베여나는 이곳
또 수양대군의 권력에 대한 무자비한 욕심까지...
그리고
한시대를 술책으로 연명했던 세조의 책사 ...한명회까지도 떠오르게 하는 이곳
그 서글프고 파란만장한 역사의 소용돌이 소리가 들릴듯한 역사의 숲길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단종의 삶과 역사
단종은 문종의 장남이며, 현덕 왕후 권씨 소생이다.
1441년 7월 23일 동궁의 자선당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홍위(弘暐)다.
8살 되던 1448년 왕세손에 봉책되었으며, 1450년 문종이 왕위에 오르자 그해 7월에 세자에 책봉되었다.
1452년 5월 14일 문종이 죽자 12살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명석했지만 너무 어려서 왕위에 오른 탓에 정사에 미숙했다.
미성년인 왕이 즉위하면 대비나 왕대비가 수렴청정을 하는 것이 관례지만 그에게는
어머니도 할머니도 없었다. 그런 까닭에 수양대군을 비롯한 왕숙들이 왕위를 노렸고
김종서, 황보인, 등 대신들은 왕을 지킨다는 명분을 내세워 정사를 마음대로 하였다.
수양대군과 대신들 간의 힘겨루기 끝에, 급기야 수양대군이 김종서, 황보인 등을 살해하는 정변까지 일으켰다.
수양대군의 협박과 회유를 이기지 못한 단종은 1455년 6월 11일 세조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가 1457년 6월 사육신 사건으로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궁 밖으로 쫓겨났다.
그해 10월 24일 17세의 나이로 영월에서 죽었다.
|
|
단종은 이 적막한 곳에서 외부와 두절된 유배생활을 했으며, 당시에는 이곳에 거처할 수 있는 집이 있어
호장 엄흥도는 남몰래 밤이면 이곳을찾아 문안을 드렸다고 전한다.
그 해 뜻밖의 큰 홍수로 강물이 범람하여 청령포가 물에 잠기게 되니 단종은 영월 동헌의 객사로 처소를 옮겼다.
지금 청령포에는 단종 유배시에 세운 금표비(禁標碑)와 영조때 세운 단묘유지비(端廟遺址碑)가 서있어 옛일을 전하고 있다.
또한 망향탑, 노산대, 관음송이 있다.
|
|
먼저 박팽년이 " 까마귀 눈 비 맞아 " 에서
까마귀 눈 비 맞아 희는 듯 검노매라
야광명월이야 밤인들 어두우랴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변할 줄이 있으랴
하고 노래하니
성삼문이 이를 이어받아 "충의가(忠義歌)"
이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 고 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이 되어서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정하리라
하고 읊었다.
사육신이 끝내 지키려 했던 한 조각 붉은 마음, 바로 단종을 향한 마음이다.
하지만 그랬던 이들이 모두 자신의 복위를 꾀하다 형장의 이슬로 사라져갔다.
세간에는 국왕을 지키지 못하고 먼저 간 사육신의 애통함만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국의 왕으로서 신하들을 보듬지 못한 단종의 비통함 또한 그에 못지 않았으리라.
더 이상은 자신으로 인해 피를 보고 싶지 않은 심정이야말로 단종이 마지막으로 품었던 단 한 가지 마음이 아니였을까...?
약관에 꽃을 피우지도 못하고 험한 바람에 꺽여버린 꽃망울처럼, 그렇게 단종은 쓸쓸히 죽음을 맞이한다.
그의 나이 불과 열이곱이였다.
장릉(莊陵) 의 유래(由來)
조선왕조 제 6대 임금 단종대왕의 능이다.
세조 2년(1456)6월 집현전 학사 성삼문, 박팽년, 등이 상왕복위사건으로 참형을 당하였으며, 다음해 6월 21일
단종은 상왕에서 노산군으로 강봉되었고 그 다음날 영월 청령포로 유배되었으며 그곳에서 2개월 남짓 기거하시던중
홍수로 인하여 관풍헌으로 옮기셨다.
세조3년(1457년) 여섯째 삼촌 금성대군의 단종복위 계책이 발각되자 노산군은 폐서인(廢庶人)이 되었고
그해 10월 24일 사사(賜死)되었는데 그때 춘추 17세였다.
단종의 유해가 동강에 흘렀는데 영월호장 엄홍도가 " 옳은 일을 하다가 화를 입는것은 달게 받겠다."는 충정으로
옥체를 수습하여 이곳에 밀장(密葬)하였다.
중종11년(1516) 노산묘를 찾으라는 왕명이 있었고 중종36+년(1541) 당시 영월군수 박충원의 현몽에 따라 노산묘를 찾고
수축봉제(修築奉祭)하였다.
숙종11년(1698)에 추복(追復)하여 묘호를 단종으로 하고 능호를 장릉이라 하였다.
단종이 승하하신지 241년 만에 왕실의 정례를 되찾게 되었다.
능상의 식물들은 추복릉의 전례에 따라 후릉(後陵)의 예를 본받아 행하라는 교지에 의하여
봉분주위에 석호(石虎)아 석양(石羊)이 각각 1쌍씩 있으며
봉분 앞에는 상석(床石)과 사각옥형(四角屋形)의 장명등(長明燈)이
있으며 능 양쪽에는 망주석(望株石) 2기와 문인석(文人石) 2기, 석마(石馬) 1쌍이 있고
무인석(武人石)은 없다.(실록의 근거)
단종의 능인 장릉은
현재 강원도 영월읍에 있다. 조선왕릉 중 유일하게 강원도에 있는 능으로
다른 왕릉에 비해 규모는 작은 편이다. 그러나 단종에게 충성을 바친 264인의 위패를 모신
충신단, 이들의 넋을 배야하는 배식단, 몰래 단종의 시신을 거두어 암장한 엄홍도를 기리는
정려각 등 다른 왕릉보다 많은 건물을 볼 수 있다.
|
|
|
|
소나무 숲길이 일품인 장릉 가는 길
|
|
|
|
단종역사관 : 단종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단종역사관.
잊혀지고 왜곡된 단종의 역사를 바로 잡고 이를 널리 알리고자 건립된 단종 역사관은
단종의 즉위식에서부터 사약을 받는 모습 등 단종의 일대기를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연대기식으로 모형전시되어 있다.
참고 자료
- 영월군 장릉관리소 홍보 전단
- 만화 조선왕조 실록 (박영규)
- 영월관광 http://www.ywtour.com
'그곳에 가고싶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수엑스포 현장이 한눈으로 보이는 자산공원 (0) | 2012.03.05 |
---|---|
여수 해양공원(종포)의 하멜등대를 아시나요...? (0) | 2012.03.02 |
영월 선돌 (0) | 2012.02.16 |
자연이 만들어준 불가사의한 모습....영월 한반도 지형 (0) | 2012.02.05 |
정선 아라리촌...그 옛시절로 떠나는 시간여행 (0) | 2012.02.02 |